MY MENU

법무자료실

제목

[판결]아파트 경비원 휴게시간을 근무시간으로 볼 수 있는 경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9.07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330
내용

[판결휴게시간에도 택배보관·주차관리·쓰레기분리수거 등 했다면

아파트 경비원 휴게시간도 근무시간에 해당

실질적으로 사용자 지휘·감독 받아… 퇴직금 산정 때 포함해야

대법원압구정 현대아파트 퇴직 경비원들 승소 확정

박수연 기자 sypark@lawtimes.co.kr

 

 

아파트 경비원들이 휴게시간에도 택배 보관재활용품 분리수거주차 관리 등 입주자대표회의로부터 각종 지시를 받아 제대로 쉬지 못했다면 휴게시간도 근로시간으로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민사2(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서울 압구정 현대아파트 퇴직 경비원 김모씨 등 30여명이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를 상대로 낸 임금청구소송(2021225845)에서 "입주자대표회의는 김씨 등에게 737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일부승소 판결한 원심을 최근 확정했다.

 

 

 

 

김씨 등은 2017년 3월 "6시간으로 규정된 휴게시간 동안 제대로 쉬지 못하고 일했다"며 노동청에 진정을 냈는데결론이 나오지 않자 이듬해 2월 소송을 냈다그 사이 아파트 측은 경비원 고용 방식을 직접고용에서 간접고용으로 전환했고김씨 등은 해고됐다김씨 등은 "근무 당시 휴게시간을 포함해 입주자대표회의로부터 사실상 24시간 경비실에서 수시로 무전 지시를 받으며 택배 보관재활용품 분리수거주차관리 등의 업무를 했다"고 주장했다또 일부 경비원들은 "격일제 방식으로 1일 18시간을 근무했음에도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받았다"며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매월 2시간씩 이수해 해당 교육시간은 당연히 근로시간에 포함돼야 함에도 임금을 지급받지 못했다"고 했다.

 

 

 

1심은 "휴게시간이 실질적으로 근로시간에 해당한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다"며 김씨 등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다만 일부 임금이 최저임금에 미달한다는 주장과 산업안전보건 교육시간(매달 2시간중 일부(매월 20)를 근로시간으로 인정해 "입주자대표회의는 20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시했다.

 

 

 

 

 

그러나 2심은 "김씨 등은 6시간의 휴게시간을 자유롭게 이용하지 못한 채 입주자대표회의의 지휘와 감독을 받았다고 봄이 상당해 근로시간에 포함돼야 한다"며 "입주자대표회의는 A씨 등에게 최저임금 차액분초과근무수당 및 야간근로수당산업안전교육 2시간에 해당하는 임금 등 총 73700여만원을 지급하라"면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2심은 "경비원 휴게시간은 총량(6시간)만 정해져 있었을 뿐 단체협약·근로계약서 등 어디에도 정해진 바 없으며식사가 경비초소로 배달되는 통상적인 시간대가 존재했을 뿐, 24시간 중 휴게시간이 언제인지 경비원과 사용자 모두 알지 못하는 상태였기 때문에 입주민들이 경비원이 초소에 있는 24시간 전부를 근무시간으로 간주하고 지휘·감독을 하거나 업무처리를 요구했을 것이고 경비원은 이를 거절할 뚜렷한 근거가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또 산업안전교육 시간도 2시간 전체를 근로시간에 포함해 임금과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대법원도 "실제로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대기시간이나 휴식·수면시간이라 하더라도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된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고 있는 시간이라면 근로시간에 포함된다"면서 김씨 등이 휴게시간(1일 6시간)과 산업안전보전교육 시간(매달 2시간)에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인 입주자대표회의 측의 지휘·감독을 받았다고 판단한 원심 판단을 그대로 확정했다.

 

 

 

대법원은 다만 "김씨 등의 각 인용금액에 대해 소장 부본 송달 다음날인 2018년 3월 10일부터 원심 판결 선고일인 2021년 3월 26일까지는 민법에서 정한 연 5%그 다음날부터 갚는 날까지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지연이율인 연 20%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며 지연손해금 부분을 파기해 자판했다임금 존부를 법원이나 노동위원회에서 다투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지연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법규정에 따른 것이다.

 

 

대법원은 "근로기준법 제37조 1항과 2근로기준법 시행령 제1718조 3호 등 각 규정에 의하면사용자는 임금 및 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은 경우 그 다음날부터 지급하는 날까지의 지연일수에 대해 연 100분의 20의 이율에 따른 지연이자를 지급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그 지급이 지연되고 있는 임금 및 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존부를 법원이나 노동위원회에서 다투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존속하는 기간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이율에 따른 지연이자를 지급할 필요가 없다"고 판시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